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ring 어노테이션
- 자바
- spring controller
- 신입개발
- 코딩
- 스프링
- 백엔드
- java
- KH정보교육원
- Spring 입문
- 백엔드 신입
- 중앙hta
- spring 테스트 코드
- 면접
- Spring Service
- 면접후기
- 개발자
- 국비지원
- 스프링 도메인
- 엘지그램 램추가
- jdk 11
- 스프링 Junit
- 인프런
- 코린이
- 웹개발
- 모두의네트워크
- Spring
- 쌍용교육센터
- 널널한개발자
- spring Juni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
뚜룽

노트북 사양내 노트북은 LG그램 15인치이고 CPU는 인텔 i5, RAM은 8GB가 기본 내장 되어있다. 2020년에 구매했던 모델이다. RAM 추가 계기잔고장없이 몇 년간 잘 써왔던 노트북이다. 그런데 최근에 노트북 버벅거림이 잦고 속도가 느린 듯한 기분이 들어 작업관리자를 열어 확인해보았다. CPU는 문제가 없었으나 메모리 사용량이 87~89%까지 치솟았다.. 윈도우에서는 20%를 가상메모리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렇다면 나는 거의 현재 메모리의 110% 이상을 사용하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 기본 8GB 램 하나만으로는 노트북이 버거워 하는 것 같아서 새로 추가 하게 되었다. RAM 모델사실 그 전까지 컴퓨터 부품을 하나도 몰랐던 나는 램 추가하면 엄청 비싼 거 아닐까 생각했다. 그런데 쿠팡에..
프롤로그어느덧 12월의 끝자락이다. 올해 8월 중소기업의 웹 개발 직무로 취업을 하고 이제 약 5개월차에 접어들고 있다. 첫 직장에서 벌써 반 년이라는 시간을 보내고, 나는 이직을 준비하려고 한다. 이직을 준비하게 된 계기첫 번째 이유는 ‘회사를 다니기에 부족한 나의 실력’이다. 백엔드 개발을 목표로 취업했지만 API 하나 만드는 것도 해메는 내 모습에 회의감을 느꼈다. 퇴근 후에는 지쳐서 잠들다보니 개인 공부를 하지 않은 채 반 년을 그냥 보내버렸다. 하루살이마냥 일하다간 내게 남는 게 없을 것 같았다. 다시 목표를 세워서 공부해야겠다고 다짐했다. 두 번째 이유는 ‘회사의 복지’이다. 아무래도 중소 기업이다보니 복지의 폭이 그렇게 크지 않다. 사실 없는 것과 같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우선 식대 지..

목차인터넷과 IP 주소공인 IP, 사설 IPIP 주소를 사용하는 이유 1. 인터넷과 IP 주소 1.1 인터넷과 네트워크 인터넷이라는 건 무엇일까? 매일같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지만 막상 말로 정의내리려고 하니 막연하게만 느껴졌다. 그래서 인터넷과 IP 주소의 개념을 다룬 유튜브, 책으로 짤막하게나마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겸 글로 기록해본다! 인터넷이라는걸 알기 전에, '네트워크'의 개념을 먼저 알아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가장 쉽게 설명하자면,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걸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한다. 이런 네트워크는 규모가 큰 것도 있고 작은 네트워크도 있다. 지구상에는 수많은 ..

목차 프로젝트 구조 회원 등록, 조회 1. 프로젝트 구조 지난 글에서는 도메인(domain)과 리포지토리(repository)에 대해서 정리했었다. 이번에는 실제로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Service 코드를 작성해보았다. 프로젝트 구조는 아래와 같다. 패키지가 벌써 4개나 되었다. 이쯤에서 각 패키지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정리하고 가자! controller: 실제 URI 요청을 처리할 Controller 클래스를 모아둔 패키지 domain: (DB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을 가정) 회원의 정보로 저장할 변수를 정의한 클래스가 있는 패키지 repository: (DB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을 가정) 회원 정보를 메모리에 추가하거나 회원 아이디, 이름으로 정보를 조회하는 패키지 service: 회원 가입이나 ..